본문 바로가기

STUDY/Python

[파이썬 문법] 자료형

728x90

*수 자료형(Number)

-  가장 기본적인 자료형

-  데이터는 모두 수로 표현 가능

-  정수와 실수가 일반적으로 쓰며, 정수를 기본으로 사용

 

*정수형(Integer)

-  정수를 다루는 자료형

-  양의 정수, 음의 정수, 0 이 있음

#양의 정수
a = 1000 

#음의 정수
a=-1000

#0
a=0

 

*실수형(Real Number)

-  소수점 아래 데이터 포함

-  e나 E를 이용한 지수표현방식 이용가능

- EX) 1e5 : 10^5

- 유효숫자e^지수 = 유효숫자X(10^지수)

#양의 실수 
a=123.45

#음의 실수
b=-123.45

#소수부가 0일 때 0을 생략
a=5.

#정수부가 0일 때 0을 생략
a=-7

#10억 지수표현방식
a=1e9

#123.4
a=12.34e1

#1.234
a=1234e-3

 

- 컴퓨터 시스템은 수 데이터 처리시 2진수 이용

- 실수 처리시 부동 소수점(floating-point) 방식 이용

- 4바이트, 8바이트라는 고정된 크기의 메모리를 할당

- 현대 컴퓨터 시스템은 실수 표현의 한계를 가짐

- 따라서, 소수점 값 비교에서는 round()함수 이용

 

# round(실수형 데이터, 반올림하고자하는 위치-1)

a=0.3+0.6
print(round(a,4))

if round(a,4) == 0.9:
	print(Ture)
else:
	print(False)

 

* 수 자료형 연산

- / : 나누기

- % : 나머지

- // : 몫

- ** : 거듭제곱

 

*리스트 자료형

- 리스트(or 배열 or 테이블)는 여러개의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담아 처리하기 위해 사용

- 배열을 채택해서 사용

- 연결리스트 자료 구조 기능 포함 

- append(), remove()사용

- 대괄호([]) 안에 원소를 넣어 초기화

- 쉼표(,)로 원소 구분

- 원소 접근시 인덱스 값을 괄호 안에 넣는다.

a=[1,2,3,4,5]
print(a) # [1,2,3,4,5]

# 5번째 원소 접근
print(a[4]) #5

# 빈 리스트 선언
a=list()
print(a)

# 빈 리스트 선언
a=[]
print(a)

# 크기가 N이고, 모든값이 0인 1차원 리스트 초기화
n=10
a=[0]*n
print(a)

 

*리스트의 인덱싱과 슬라이싱

- 인덱싱(indexing)은 인덱스 값을 입력하여 리스트의 특정한 원소에 접근하는 것

- 인덱싱 값은 양의 정수와 음의 정수 모두 사용 가능

- 음의 정수로 원소 거꾸로 탐색 가능

- 슬라이싱(slicing)은 리스트에서 연속적인 위치를 갖는 원소들을 가져와야 할 때 이용

- 대괄호 안에 콜론(;)을 넣어서 시작 인덱스와 끝 인덱스-1을 설정할 수 있음

a=[1,2,3,4,5]

#뒤에서 첫 번째 원소 출력
print(a[-1])   #5

#뒤에서 세 번째 원소 출력
print(a[-3])   #3

#네 번째 원소 값 변경
a[3]=7
print(a)   # [1,2,3,7,5]

#두 번째 원소부터 네 번째 원소까지
print(a[1:4]) # [2,3,4]

 

728x90